US Air Force transitioning from A-10s to cutting-edge upgrades in Korea Published Nov. 12, 2024 Secretary of the Air Force Public Affairs ARLINGTON, Va. (AFNS) -- The U.S. Air Force is set to complete a significant phase of its modernization strategy in fiscal year 2025. In key regions, including South Korea, it will transition away from its A-10 Thunderbolt II aircraft in favor of advancing fourth-generation fighter jet upgrades and enhancing fourth- and fifth-generation aircraft integration. The modernization effort seeks to ensure peace and stability in the Indo-Pacific region,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tate-of-the-art aircraft. The strategy bolsters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and reaffirms the ironclad U.S. security commitment to the South Korea-U.S. alliance by strengthening South Korean and U.S. combined defense. Throughout this transition, the U.S. Air Force will continue to enhance interoperability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This change represents a pivotal upgrade in U.S. Air Force capabilities, reinforcing its commitment to maintaining an overwhelming force posture in the region and adapting to evolving global threats. Lt. Gen. David Iverson, Seventh Air Force commander and U.S. Forces Korea deputy commander, underscored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this transition. “By introducing advanced fourth and fifth-generation aircraft like our upgraded (F-16 Fighting Falcons), along with (F-35 Lightning IIs) and (F-15EX Eagle IIs) in the Pacific region, we are significantly enhancing our overall air combat capabilities in the Korean theater.” Seventh Air Force Commander and U.S. Forces Korea Deputy Commander Lt. Gen. David Iverson Starting in January 2025, the 25th Fighter Squadron at Osan Air Base will begin a phased withdrawal of its 24 A-10 aircraft, with completion expected by the end of fiscal year 2025. Additionally, Seventh Air Force F-16s are undergoing a series of avionics system upgrades, bringing the aircraft closer to fifth-generation capabilities as they increase both the survivability and accuracy of the weapon system. This is a deliberate shift towards integrating next-generation aircraft that will significantly enhance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U.S. force pos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The F-16s, with their upgraded systems, will continue to deliver reliable and flexible combat cap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F-35, with its stealth capabilities and advanced sensors, will provide a significant edge in situational awareness and strike precision. The F-15EX, known for its advanced avionics and payload capacity, will enhance air-to-air and air-to-ground combat effectiveness. Iverson further emphasized, “These aircraft bring unparalleled multi-role versatility, advanced stealth features, and superior operational range, positioning us to effectively counter modern threats and support our regional allies.” The U.S. Air Force remains committed to providing comprehensive and advanced air capabilities to safeguard South Korea. This modernization effort underscores a strategic shift towards more capable and agile platforms, reflecting an enduring commitment to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regional stability. “The advancement of our F-16 upgrades and innovation through our ongoing super squadron test at Osan (AB) show our dedication to evolving and adapting our forces to meet the demands of the 21st century,” Iverson concluded. “We will continue to deliver overwhelming, unmatched combat airpower, ensuring that our defenses remain effective in safeguarding peace and security in the Indo-Pacific.” U.S. Air Force Logo 미공군, 주한미공군 A-10항공기를 대신하여 최첨단 업그레이드로 전환 펜타곤 – 미 공군은 2025회계년도에 현대화 전략의 중요 단계를 완료할 예정으로 이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주요 지역에서 A-10썬더볼트 II 항공기를 대신하여, 4세대 전투기 업그레이드 및 4세대와 5세대 항공기 통합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현대화 노력은 최첨단 항공기를 통해 한반도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전략은 북한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하고 한미 연합 방위력을 강화함으로써 한미 동맹에 대한 미국의 철통같은 안보 공약을 재확인 한다. 이번 전환 기간 동안 미 공군은 대한민국공군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다. 이번 변화는 미 공군의 중추적 역량 강화, 지역내 압도적인 전력태세 유지, 진화하는 글로벌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미 7공군 사령관겸 주한미군 부사령관인 데이비드 아이버슨(David Iverson) 중장은 이번 전환의 변형성을 강조하며 “주한미공군의 업그레이드된 F-16처럼 F-35, F-15EX와 같은 최신 4세대 및 5세대 항공기들의 태평양 지역 배치로 한국 전구내 공군력은 크게 향상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오산 공군기지의 제 25전투비행대대는A-10항공기 24대의 단계적 철수를 2025년 1월 부터 시작하여 2025 회계년도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 7공군의 F-16은 항공전자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존성과 정확도를 높여 5세대 전투기 역량에 가까워졌다 . 이는 차세대 항공기를 통합하기 위한 계획된 변화로, 이를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작전 효율성과 미군의 준비태세를 크게 강화하려는 계획된 변화이다. 업그레이드된 F-16은 계속해서 안정적이고 유연한 전투 능력을 제공할 것이다. 태평양 지역내 F-35는 스텔스 기능과 첨단 센서로 상황 인식과 타격 정밀도에서 상당한 우위를 제공할 것이다. F-15EX는 첨단 항전 장비 및 적재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공대공 및 공대지 전투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아이버슨 사령관은 “이 항공기들은 비교할 수 없는 다목적, 첨단 스텔스, 우수한 작전 범위를 제공하여 현대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동맹국들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라고 강조했다. 미 공군은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한 포괄적 첨단 항공 역량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번 현대화 노력은 보다 유능하고 민첩한 플랫폼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강조하며, 한미 동맹과 지역안정에 대한 지속적 의지를 나타 내는것이다. “오산기지에서 진행 중인 F-16업그레이드와 슈퍼 비행대대 테스트를 통한 혁신은 21세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력을 발전시키고 적응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라고 아이버슨 중장은 결론지었다. “압도적이고 비교불가한 전투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인도-태평양 지역내 평화와 안보를 수호하기 위한 방어 능력을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